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병가 기준과 병가 시 급여는 유급일까 무급일까?

by 에떼르유니 2024. 3. 27.

병가의 의미와 사용 기준, 그리고 병가 시 급여는 유급인지 무급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병가란?

 

병가는 직장에 다니는 근로자가 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상태일 때, 일을 하지 않고도 월급을 받을 수 있는 휴가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에 대해 병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 규정은 회사의 규정이나 관련 법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병가 사용 시에는 회사의 지침을 따라야 하며, 병가에 필요한 서류나 절차에 대해서는 회사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병가 사용 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내 병가 사용 지침은 회사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지침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병가 신청: 병가를 사용하려면, 일반적으로 병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상사나 인사 담당자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병가 신청서에는 병명, 휴가 일수, 의사 소견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병가 증빙서류: 병가 사용 시에는 의사 소견서나 진료비 영수증 등의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정책에 따라 요구되는 증빙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회사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병가 급여 지급: 병가 사용 시에는 병가 급여가 지급됩니다. 이에 대한 세부 규정은 회사의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병가 사용 기간에 따라 급여가 차등될 수 있습니다.
  4. 추가 규정: 회사마다 추가적으로 병가 사용에 관한 특별한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차 휴가와 병가를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병가 사용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귀하가 다니는 회사의 인사팀이나 회사 규정을 참고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가 시 급여 산정 방식

 

병가는 근로기준법에 규정돼 있지 않은 만큼, 병가의 지급 여부 및 유·무급 여부는 회사의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 사규에 따라 다르게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취업규칙 등에 병가가 명시돼 있고, '병가에 대해 유급으로 처리한다' 등의 규정이 있다면 회사는 병가를 낸 근로자에게 사규대로 유급을 보장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병가의 유급 여부는 회사의 규정에 따라 결정되므로, 귀하가 다니는 회사의 취업규칙 등을 확인하여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업규칙에 병가가 명시돼 있지만 적지 않은 기업이 병가를 연차로 사용하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문제가 되는지 여부는 취업규칙 등을 확인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취업규칙에 '병가 사용 시 연차를 먼저 소진하도록 한다'는 규정이 있다면, 법 위반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아직 발생하지 않은 연차를 미리 당겨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728x90